주식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으로 매매하기

정그릿 2019. 6. 19. 12:26
728x90

1. 추세선이란

: 주가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을 말한다. 주가는 일정기간 동안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추세라고 하고 추세를 알아보기 쉽게 직선으로 나타낸 것을 추세선이라고 한다. 그래프를 분석할 때 가장 먼저 봐야하는 것이 추세선이다. 주가의 고점과 저점들 중 의미 있는 두 고점 또는 두 저점을 연결한 직선이 바로 추세선이다.

 

1) 상승 추세선 : 저점을 연결한 결과 위로 향하는 추세선을 말한다. 주가가 하락할 때마다 이 선에서 가격하락을 지지해주므로 지지선이라고도 한다.

 

2) 하락 추세선 : 고점을 연결한 결과 아래로 향하는 추세선을 말한다. 주가가 상승할 때마다 이 선에서 저항을 받아 내려오므로 저항선이라고도 한다.

 

즉, 지지선에서 매수를 하고, 저항선에서 매도를 해야한다.

 

※ 추세선의 신뢰도

  • 추세선은 길이가 길수록 신뢰도가 높다. - 추세선의 길이가 길다는 것은 시간단위가 길고 추세선과 주가의 만남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가가 추세선에 닿을 때마다 지지나 저항을 받았음에도 무너지지 않고 추세를 이어갔다는 것이므로 그만큼 추세선의 신뢰도가 높다는 의미이다. 강세장일 경우 추세선은 6~8주 움직이는 것이 보통이고 길 때는 수개월 이어지기도 한다.
  • 추세선의 기울기는 매수자 또는 매도자의 세력강도를 의미한다. - 가파른 추세선은 세력이 급격히 움직이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초보 투자자들은 이런 움직임에 휘말리지 말고 완만한 기울기를 보이는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45도 각도의 기울기를 이상적인 상승추세로 본다.

 

 

2. 추세선을 이용한 4가지 매매방법

 

1) 상승추세와 하락추세일 때 매매방법

: 상승추세일 때는 매수의 관점에서, 하락추세일 때는 매도의 관점에서 봐야한다. 상승추세에서 상승추세선을 하향돌파하면 매도하고, 하락추세에서 하락추세선을 돌파하면 매수한다. 이때 추세이탈의 기준은 대체로 3~5%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이상으로 주가가 추세선을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2) 지지선과 저항선에 따른 매매방법

: 지지선과 저항선은 매도세력과 매수세력 간 힘의 균형을 의미하므로 주가가 지지선까지 내려오면 매수하고, 주가가 저항선까지 올라가면 매도한다. 그러나 상승하던 주가가 지지선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하고, 주가가 저항선을 상향돌파하면 매수해야한다. 

 지지선이 붕괴된다는 것은 새로운 악재가 나왔거나 매수세력의 힘이 약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저항선이 뚫린다는 것은 새로운 호재가 있거나 매수세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매수를 하거나 매도를 보류하는 것이 좋다.

 

3) 가파른 추세선일 때 매매방법

: 지나치게 가파른 추세선은 무너지기 쉽다. 가장 이상적인 추세선의 기울기는 우상향 45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승추세선이 45도를 넘어 직각에 가까우면 곧 조정 또는 폭락이 예상되므로 흥분해서 추격매수는 금해야한다. 주가가 가파른 추세선을 이탈하면 매수단가를 생각하지말고 과감하게 매도해야한다. 

 

4) 거래량에 따른 매매방법

: 추세선은 거래량과 함께 봐야한다. 추세선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거래량이 증가하면 추세를 확인하는 것이고, 추세선과 반대로 거래량이 움직이면 추세 반전을 경고하는 의미로 본다. 예를 들면, 주가는 상승을 이어가는데 거래량은 점차 감소하는 경우, 또는 주가는 하락을 지속하고 있는데 거래량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경우는 조만간 주가의 반전을 예상할 수 있다.

 

 

3. 이동평균선이란

: 투자자가 이용가능한 기술적 지표 가운데 가장 신뢰할 수 있고 알기 쉬운 지표 중 하나가 이동평균선이다. 이동평균선은 변화무쌍한 주가의 흐름을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주가의 평균가격을 계산하여 연결시킨 선으로, 기업가치에 대한 시장 참가자들의 평균적인 합의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진행방향을 그리므로 미래의 주가 동향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1) 주가 이동평균선

: 200일, 120일, 60일, 20일, 10일, 5일 등 기간별로 세분화되어 있다. 200일과 120일 이동평균선은 장기 추세로 경기사이클과 유사하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며 중장기 투자에 활용한다. 60일과 20일 이동평균선은 수급선으로 중단기 투자에 활용하고, 10일과 5일 이동평균선은 단기추세로서 재료와 수급에 주로 영향을 받아 단기매매에 많이 이용한다.

 중장기 이동평균선은 매일 매일의 주가 변동에는 크게 좌우되지 않기 때문에 대세를 판단하는 데 유용하나 시세의 전환을 신속히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에 단기 이동평균선은 하루하루 움직임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아 추세 판단에 혼란을 가져올 때가 있다. 그러므로 단기와 중기 그래프를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다.

 

2) 거래량 이동평균선

: 주가 이동평균선과 거래량 이동평균선은 대체로 서로 호응해 움직인다. 만약 주가 이동평균선이 상승하고 있는데 거래량 이동평균선이 하락추세라면 주가 이동평균선의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다. 거래량 이동평균선은 5일선과 20일서을 주로 활용한다. 

 

 

4. 이동평균선 활용방법

 

1) 주가의 방향의 파악할 수 있다.

  • 상승추세 : 이동평균선이 상승하고 있으면 주가는 상승추세라고 본다.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는 동안에는 상승추세가 이어진다고 봐야한다.
  • 하락추세 : 이동평균선이 하락하고 있으면 주가도 하락추세라고 본다.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는 동안에는 하락추세가 이어진다고 봐야한다.
  • 횡보추세 : 이동평균선이 횡보하고 있는 동안에는 주가도 횡보한다. 

2) 매수·매도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 상승전환 : 하락하던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관점으로 본다. 차례로 주가 이동평균선을 돌파하고 5일 이동평균선도 상승으로 돌아서면 적극 매수한다.
  • 하락전환 : 상승하던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하면 매도시점으로 본다. 주가가 5일, 20일 선을 차례로 돌파하고 5일 이동평균선도 하락으로 전환될 때 적극 매도해야한다.
  • 횡보국면 : 이동평균선이 횡보하고 있는 상태에서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로 상승하면 매수하고,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로 하락하면 매도한다.

3) 지지선과 저항선으로 활용한다.

: 상승하던 주가가 5일선을 하향돌파하면 어디까지 하락할까? 1차적으로 20일선까지 하락하고 20일선에서 지지된다고 보면된다. 20일 선을 돌파하면 60일선, 120일선 등이 차례로 지지선이 된다. 마찬가지로 저항선도 이와 같은 관점으로 이해하면 된다.

 

4) 장·단기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투자 판단

  • 정배열 : 위로부터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 순으로 나란히 상승중일 때 전형적인 정배열 상태로 본다. 안심하고 매수 또는 보유하면 된다.
  • 골든크로스 :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급속히 상향 돌파하는 상태를 말한다. 매수포인트로 봐야한다.
  • 역배열 : 이동평균선이 위로부터 장기, 중기, 단기 순으로 나란히 하락추세에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정배열의 반대 모양으로 전형적인 역배열이다. 매도의 관점으로 보고 매수는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는 한 보류해야한다.
  • 데드크로스 :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급속히 하향 돌파하는 상태를 말한다. 매도 관점으로 봐야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