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매매 기법 : 눌림목 매매

정그릿 2022. 6. 15. 12:11
728x90

 기준봉이란 무엇일까? 기준봉을 이해하기 전에 매집봉부터 알아보자. '매집'이란 주식을 사서 모으는 것. 즉, 물량을 가져가는 것을 말한다. 매집봉은 주가가 박스권 안에 있으면서 세력이 개인의 물량을 사들일 때 나타난다. 그리고 바로 이 부분에서 매집봉과 기준봉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난다. 매집봉과 유입봉 모두 박스권에서 '세력의 유입'을 나타내는 캔들이다. 발생 시점이 박스권에서 '세력의 유입'을 나타내는 캔들이다. 발생 시점이 박스권 내라면 매집봉, 박스권을 돌파하면 기준봉인 것이다. 모두 세력의 유입을 나타내므로 이후 주가의 상승을 예상하게 하고 매수와 매도 타점을 잡게 한다.

 구체적으로 기준봉은 긴 시간 횡보하며 박스권에 갇혀 있던 주가가 박스권을 강력하게 뚫고 나가는 것을 말하며, 기준봉이라는 명칭은 이 박스권을 돌파하며 만들어진 자리가 새로운 시세의 기준이 되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기준봉의 시초가는 강력한 지지 라인이 되고 종가는 저항선이 된다. 이 기준봉이 확실한 역할을 하는지는 이후 주가가 돌파한 박스권의 상단 부분을 지지해 주는지를 지켜봐야 하며, 기준봉이 출현하면 출현 날의 거래량은 전날 혹은 전전날의 2배 이상이 증가한다.

 

 

 위의 차트를 보자. 박스권의 상단이 저항의 역할을 하고 박스권의 하단이 지지의 역할을 한다. 박스권 내에서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이전의 거래량보다 매우 많은 거래량을 동반하며 박스권을 돌파하는 캔들이 형성되었으므로 기준봉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주가의 흐름은 기간 조정과 가격 조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박스권의 상단 즉, 돌파했던 그 자리를 지지해 주는 모습이다. 박스권의 상단은 강력한 저항선이었지만, 돌파한 이후 강력한 지지선이 되었다. 첫 번째 동그라미 부분에서도 돌파한 자리를 지지하고, 두 번째 동그라미 부분에서도 돌파한 자리를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