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터 및 종목 : 한국판 뉴딜
한국판 뉴딜이란 코로나19로 최악의 경기 침체와 일자리 감소의 충격 등에 직면한 상황에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기 위해 2020년 7월 14일에 10대 대표 과제로 마련된 국가 발전 전략이다. 경제 전반의 디지털 혁신과 역동성 확산을 위한 '디지털 뉴딜'과 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그린 뉴딜'이 두 축이고 경제 구조 변화에 맞춘 새로운 일자리로의 이동을 위한 인력 양성과 취업 지원 및 디지털 격차 해소 등 포용적으로 사람에게 투자하는 것을 확대하는 '휴먼 뉴딜'과 '지역 균형 뉴딜'도 이에 포함된다.
구분 | 내용 |
디지털 뉴딜 | 우리의 강점인 정보 통신(ICT) 산업을 기반으로 데이터 경제를 활성화하는 전략이다. 데이터 활용도를 높여 전 산업의 비약적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인프라를 빠르게 구축하기 위한 정책이다. |
그린 뉴딜 | 그린(green)과 뉴딜(new deal)의 합성어로 환경과 사람이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발전 정책을 의미한다. 저탄소 경제 구조로 전환해 고용과 투자를 늘리고자 하는 정책이기도 하다. |
휴먼 뉴딜 | 경제 구조의 변화에 맞춘 새로운 일자리로의 이동을 위한 인력 양성과 취업 지원 및 디지털 격차 해소 등 고용 안전망과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정책이다. |
지역 균형 뉴딜 | 지역 경제 혁신과 삶의 질 개선, 국가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뉴딜과 지역 정책 연계, 양질의 지역 균형 뉴딜을 활성화하는 정책이다. |
2020년 7월 14일에 발표한 정부의 한국판 뉴딜 1.0 버전 종합 계획은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탄소 의존 경제에서 저탄소 경제로, 불평등 사회에서 포용 사회로의 강한 의지와 구상을 담은 계획으로, 2021년 7월 14일에 한국판 뉴딜 2.0 버전의 5대 과제를 새롭게 발표했다. 기존의 과제에 글로벌 디지털화, 탄소 중립, 양극화 해소를 보강한 내용이다. 아래는 추가된 5대 대표 과제이다.
첫째, 디지털 초혁심을 꾀한다. 가상 세계를 의미하는 메타버스를 필두로 '디지털 트윈, 클라우드, 지능형 로봇, 블록체인, 사물 인터넷' 등의 다양한 산업에 투자한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산업군이 변화, 형성되므로 시장의 주도 섹터를 찾아야 한다.
둘째, 탄소 중립 인프라를 형성한다. 글로벌 흐름에 맞추어 탄소 중립과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여 신재생 에너지 확산 기반 구축, 전기차와 수소차 등의 그린 모빌리티 등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
셋째, 청년의 자립을 위한 청년 주거 안정, 자산 형성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한다. 일자리와 스타트업 정책이 준비될 것이므로 관련 섹터를 관심있게 보아야 한다.
넷째, 4대 교육 패키지를 실행한다. 코로나19로 저하된 기초 학력 보강을 위한 계획으로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시행착오와 개선점,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등으로 어느 정도 변화가 있으리라 예상한다.
다섯째, 5대 돌봄 격차 해소 패키지를 실행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가정환경별 돌봄 격차를 해소하고 계층별 돌봄 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노인 복지와 저출산, 교육 관련 섹터에 관심을 가지면 좋다.
부문 | 대표과제 | 한국판 뉴딜 관련주 종목 |
디지털 뉴딜 | 데이터 댐 | 더존비즈온, 오이솔루션, 케이엠더블유, 이노와이어리스, 머큐리, 에이디칩스, 에이스테크, RFHIC, 와이어블, 에치에프알 |
지능형(AI) 정부 | 텔레칩스, 만도, 유진로봇, 하이비전시스템, 팅크웨어, 네온테크, 한화시스템, 피씨디렉트, 제이씨현시스템, 셀바스AI | |
스마트 의료 인프라 | 비트컴퓨터, 제이엘케이, 유비케어, 인성정보, 인바디, 인피니트헬스케어, 아이센스, 뷰노, 이제케어텍 | |
디지털 초혁신 | 이노뎁, 뉴프렉스, 맥스트, 이랜텍, 엔텔스, 자이언트스텝, 코세스, 가온미디어, 옵티시스, 선익시스템, 한빛소프트, 주연테크, 제이엠티, 지니뮤직, 케이사인, 라온시큐어, SGA솔루션즈, 이그잭스, 유비쿼스, 에스넷, 코콤, 누리텔레콤 |
디지털 그린 융복합 |
그린스마트스쿨 | 메가엠디, 아이스크림에듀, YBM넷, NE능률, 비상교육, 대교, 씨엠에스에듀 |
디지털 트윈 | 한글과컴퓨터, 현대오토에버, 롯데정보통신, 우리기술, 에스에너지, 지란지교시큐리티 | |
국민안전SOC 디지털화 | 인스코비, 한국주철관, 대림산업, 한일현대시멘트, 대우건설, GS건설, 혜인, 흥국 등(건설주, 시멘트, 중장비 관련주) | |
스마트 그린 산업 단지 | 코엔텍, 인선이엔티, 와이엔텍, 시스웍, 에스엠코어, 삼성에스디에스, 옴니시스템, 포스코ICT |
그린 뉴딜 | 그린리모델링 | 현대리바트, 에넥스, 한국가구, 한샘, 한솔홈데코, 하츠, 이건산업, 이건홀딩스, 국보디자인, 누리플랜 |
그린 에너지 | 두산퓨얼셀, 동국S&C, 씨에스윈드, 유니슨, 삼감엠앤티, 현대에너지솔루션, 에스에너지, 신성이엔지 | |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 현대차, 이엠코리아, 제이엔케이히터, 두산퓨얼셀 | |
탄소 중립 인프라 | 유니드, 에코프로, SGC에너지, 세종공업, 이건산업, 태경비케이, 그린케미칼, 대창솔루션, 그린케미칼, 후성 |
휴먼 뉴딜 | 청년 정책 | 아이비김영, 아시아경제, 플랜티넷, 원티드랩, 윌비스, 메가엠디, 위즈코프, 사람인에이치알 |
4대 교육 향상 패키지 | 아이스크림에듀, YBM넷, 로보로보, 웅진씽크빅, 멀티캠퍼스, 정상제이엘에스, 청담러닝, 씨엠에스에듀, 디지털대성, 이퓨쳐, 메가스터디, 비상교육 | |
5대 돌봄 격차 해소 | 유유제약, 현대약품, 명문제약, 고려제약, 오스템임플란트, 덴티움, 캐리소프트, 제로투세븐, 아가방컴퍼니, 손오공, 삼성출판사, 오로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