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구상은 '남북경협으로 한반도가 동북아 지역의 허브로 도약'한다는 빅 피처이다. 이는 'H 라인'의 3대 벨트 구축을 통해 북방 경제와 연결하여 한반도의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으로 명명되었다. 목포-서울-개성-평양-신의주로 이어지는 환서해안축을 서해안사업, 물류, 교통벨트로, 부산-금강산-원산-나선으로 이어지는 환동해안축을 동해권에너지, 자원벨트로 하여 양날개를 구축한다. 서해안산업, 물류, 교통벨트는 중국으로 이어지며 첨단산업과 물류가 중심을 이룰 것이다. 동해권에너지, 자원벨트는 러시아로 이어지며 에너지와 자원이 흐르는 동맥이 된다. 이 동, 서의 양날개를 DMZ환경, 관광벨트가 연결해 준다. 설악산-금강산-원산-백두산을 잇는 관광벨트 구축 및 생태화, 안보 관광지구로 개발하는 계획이다.
서해안산업·물류·교통벨트
이 벨트는 '개방형 국토축'을 지향한 제4차 국토종합계획에서 '환서해안축'으로 명명되었다. 이 서해안벨트는 서울, 인천, 광주, 대전, 경기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를 포함하며 중국의 베이징, 톈진, 허베이성, 네이멍구, 랴오닝성과 북한의 평양, 남포, 평안남도, 평안북도, 황해남도, 황해북도가 포함된다. 남북은 9·18 평양 정상회담에서 서해경제공동특구를 개발하자는 합의서를 채택하여 실현가능성을 높였다.
- 주요 프로젝트 : 한반도와 중국 주요 도시 간 1일 생활권 구축(서해권 고속교통망 개설을 통하여 서울-평양-베이징 연결이는 3대 수도권을 기반으로 고급 인적 자원의 투입과 유기적 연계가 요구되는 첨단/지식산업, 금융/상거래, 기타 첨단 서비스 산업 육성의 기반이 됨) / 서해권(산업, 물류, 교통)벨트 건설(인천-해주-개성을 연결하는 남북경협 삼각지대, 목포-남포-상해를 자유항으로 연결하는 황해 트라이앵글) /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건설(인천-개성공단-해주/파주-개성-해주) / 북한의 첨단산업 개발(평양권, 신의주권) / 북한의 금융/상거래 등 첨단 산업 개발(남포, 신의주, 개성) / 기타(전력 개발 및 송배전망 현대화, 경의선 철도, 도로의 공동 이용 및 개보수, 개성공단 사업의 재개와 2·3단계 확장
동해권에너지·자원벨트
이 벨트는 '환동해안벨트'로 명명된 금강산, 원산·단천, 청진·나산을 남북이 공동 개발하여 우리의 동해안과 러시아를 연결한다는 계획을 담고 있다. 이 동해권벨트에는 강원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대구, 부산, 울산, 서울을 포하하며 중국 네이멍구, 헤이룽장성, 지린성과 북한의 나선, 함경북도, 함경남도, 강원도를 경유하여 극동 러시아와 연결된다.
- 주요 프로젝트 : 동해권 관광지구 개발(설악산-금강산-원산-백두산-칠보산) / 남·북·러 천연가스 공급 가스관 건설사업 / 한반도 동북부의 천연자원 매장 지역 개발(단천 지역 특구 지정-마그네사이트, 아연, 납 등 매장) / 교통 인프라 사업(경원선, 동해선 철도, 도로 연결 및 현대화, 원산~함흥 고속 도로 건설, 함흥~김책~청진~ 고속도로 건설, 원산~금강산 철도 개보수 및 고속화) / 주요 항만 현대화(원산항, 흥남항, 청진항, 나선항) / 기타(나진, 선봉 거점으로 중국, 러시아와 연계 수송망 확충, 동해-DMZ를 생태·평화안보 관광지구로 개발)
DMZ환경·관광벨트
DMZ환경·관광벨트는 설악산, 금강산, 원산, 백두산을 잇는 관광벨트 구축 및 DMZ생태·평화 안보벨트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현재 비무장지대(DMZ)는 군사분계선을 중심을 각각 2km, 즉 남북으로 4km의 넓이에 동서로 250km에 걸쳐 있는 거대한 띠 모양으로 한반도의 허리를 가르고 있다. 남북 정상은 평양에서 DMZ를 기점으로 서부는 남북 각 20km, 동부는 각 40km 이내에서 군사 활도을 전면 금지하는 군사협정을 체결하였다.
- 주요 프로젝트 : 생태환경보호사업, 공유 하천 공동 관리,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 / 평화 생태관광 거점 육성, 세계생태평화공원 개장, 문화 교류센터 건립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학개론 기본이론 2 (0) | 2019.05.16 |
---|---|
부동산학개론 기본이론 1 (0) | 2019.05.16 |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1) | 2019.05.08 |
부동산 투자는 지도를 보는 것부터 시작된다.(제1차~제4차 국토종합계획) (0) | 2019.05.07 |
부동산 경매 입찰 절차와 입찰 서류 작성하기 (0) | 2019.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