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부동산학개론 기본이론 1

by 정그릿 2019. 5. 16.
728x90

'부동산학개론'에서 큰 테마는 '경제론(수요와 공급)', '투자론', '금융론'이다.

이에 앞서 부동산 총론을 다루고자 한다. 부동산총론에서는 '부동산학의 의의', '부동산의 개념', '부동산의 분류(토지의 용어)', '부동산의 특성'을 살펴 볼 것이다. 

 

 

<부동산학의 의의>

 

1. 부동산학 개념 : 부동산학이란 부동산 활동능률화의 원리 및 그 응용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응용과학이다.

① 부동산 활동 - 연구대상

② 능률화의 원리 - 이론적 성격(과학성)

③ 응용기술 - 실무적 성격(기술성)

④ 종합응용과학 - 복합개념(법률적 개념, 경제적 개념, 기술적 개념)

 

2. 부동산학의 성격

① 종합과학 ② 응용과학(순수과학이 아니다.) ③ 규범과학-이론(과학성)

④ 경험과학(=실천과학) - 실무(기술성) ⑤ 사회과학(자연과학이 아니다.)

 

3. 부동산학의 연구방법(=접근방법)

- 종합식 접근방법(복합개념적으로 부동산에 접근)

- 의사결정 접근방법(합리적 의사결정으로 본인의 이윤 극대화)

 

4. 부동산학의 연구대상

- 부동산 활동

- 부동산 현상

 

5. 부동산학의 이념

- '효율성 + 형평성'

- 효율성은 능률성, 경제성이라는 개념과 바꿀 수 있다. 즉 효율성이라는 말은 최소 비용을 투입해서 최대의 효과를 내는 것을 말한다. 이는 사적 주체의 행동이념이다. 최유효비용 : 최고의 수익, 최고의 가치를 주는 부동산 비용

- 형평성은 공정성이라는 말로 바꿀 수 있다. 더불어 사는 사회, 즉 분배와 연결된다. 공적 주체의 행동이념이다. 소득재분배, 복지의 개념이다.

- 부동산학의 최우선가치는 효율성이다. 

- 민간은 효율성, 사회전체는 형평성

 

6. 부동산 활동의 성격

- 과학성(이론) + 기술성(실무) → 전문성

- 사회성과 공공성 및 사익성

: 사회성과 공공성은 공익성에 해당하고, 이 공익성은 윤리성을 기준으로 한다. 윤리성의 종류에는 고용윤리(업자-종업원), 조직윤리(업자-업자), 서비스윤리(업자-의뢰인), 공증윤리(일반적 공증)가 있다. 사익성은 부동산활동의 주된 활동에 해당한다. 그래서 사회성과 공공성이 사익성을 견제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 정보 활동과 임장활동은 부동성을 가진다.

- 대인활동과 대물활동을 동시에 지닌다. 

 

7. 부동산업의 분류

임대 / 공급 임대 주거용 부동산업
비주거용 부동산업
기타 부동산업
개발공급 주거용 부동산업
비주거용 부동산업
기타 부동산업
서비스업 관리업 주거용 부동산업
비주거용 부동산업
중개자문감정평가 중개 및 대리업
부동산 투자 자문업
감정평가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