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개론'에서 큰 테마는 '경제론(수요와 공급)', '투자론', '금융론'이다.
이에 앞서 부동산 총론을 다루고자 한다. 부동산총론에서는 '부동산학의 의의', '부동산의 개념', '부동산의 분류(토지의 용어)', '부동산의 특성'을 살펴 볼 것이다.
<부동산학의 의의>
1. 부동산학 개념 : 부동산학이란 부동산 활동의 능률화의 원리 및 그 응용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응용과학이다.
① 부동산 활동 - 연구대상
② 능률화의 원리 - 이론적 성격(과학성)
③ 응용기술 - 실무적 성격(기술성)
④ 종합응용과학 - 복합개념(법률적 개념, 경제적 개념, 기술적 개념)
2. 부동산학의 성격
① 종합과학 ② 응용과학(순수과학이 아니다.) ③ 규범과학-이론(과학성)
④ 경험과학(=실천과학) - 실무(기술성) ⑤ 사회과학(자연과학이 아니다.)
3. 부동산학의 연구방법(=접근방법)
- 종합식 접근방법(복합개념적으로 부동산에 접근)
- 의사결정 접근방법(합리적 의사결정으로 본인의 이윤 극대화)
4. 부동산학의 연구대상
- 부동산 활동
- 부동산 현상
5. 부동산학의 이념
- '효율성 + 형평성'
- 효율성은 능률성, 경제성이라는 개념과 바꿀 수 있다. 즉 효율성이라는 말은 최소 비용을 투입해서 최대의 효과를 내는 것을 말한다. 이는 사적 주체의 행동이념이다. 최유효비용 : 최고의 수익, 최고의 가치를 주는 부동산 비용
- 형평성은 공정성이라는 말로 바꿀 수 있다. 더불어 사는 사회, 즉 분배와 연결된다. 공적 주체의 행동이념이다. 소득재분배, 복지의 개념이다.
- 부동산학의 최우선가치는 효율성이다.
- 민간은 효율성, 사회전체는 형평성
6. 부동산 활동의 성격
- 과학성(이론) + 기술성(실무) → 전문성
- 사회성과 공공성 및 사익성
: 사회성과 공공성은 공익성에 해당하고, 이 공익성은 윤리성을 기준으로 한다. 윤리성의 종류에는 고용윤리(업자-종업원), 조직윤리(업자-업자), 서비스윤리(업자-의뢰인), 공증윤리(일반적 공증)가 있다. 사익성은 부동산활동의 주된 활동에 해당한다. 그래서 사회성과 공공성이 사익성을 견제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 정보 활동과 임장활동은 부동성을 가진다.
- 대인활동과 대물활동을 동시에 지닌다.
7. 부동산업의 분류
임대 / 공급 | 임대 | 주거용 부동산업 |
비주거용 부동산업 | ||
기타 부동산업 | ||
개발공급 | 주거용 부동산업 | |
비주거용 부동산업 | ||
기타 부동산업 | ||
서비스업 | 관리업 | 주거용 부동산업 |
비주거용 부동산업 | ||
중개자문감정평가 | 중개 및 대리업 | |
부동산 투자 자문업 | ||
감정평가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학개론 기본이론 2 (0) | 2019.05.16 |
---|---|
한반도 신경제지도 (0) | 2019.05.09 |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1) | 2019.05.08 |
부동산 투자는 지도를 보는 것부터 시작된다.(제1차~제4차 국토종합계획) (0) | 2019.05.07 |
부동산 경매 입찰 절차와 입찰 서류 작성하기 (0) | 2019.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