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4

주요 캔들 모양 총정리 망치형 캔들 망치 모양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캔들의 위꼬리가 없고 아래꼬리가 몸통 길이의 2배 이상 나왔을 때를 말한다. 망치형 캔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닥권에서 나오는 망치형 캔들은 신뢰도가 높다. 둘째, 아래꼬리가 길수록 매수세가 강하므로 꼬리의 길이를 잘 살펴봐야 한다. 셋째, 주가가 아래꼬리 이하로 내려가면 추가 하락을 예상할 수 있다. 망치형 캔들의 아래꼬리는 매수세가 유입되어 주가를 끌어 올렸음을 보여준다. 그래서 바닥권에서 나오는 망치형 캔들은 주가 상승이 나타날 것이라는 기대감을 보여준다. 꼬리가 길수록 매수세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왕이면 하락하던 주가가 추세 전환을 할 때 나오는 것이 좋다. 그러나 망치형 캔들을 확인하고 매수했다고 해도 주가가 아래꼬리라고.. 2022. 7. 16.
인적 분할 물적 분할 알아보기 '기업 분할'이란 기업의 특정 사업부를 독립적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기업 분할을 하면 매각이나 인수, 합병 시에 유리하다. 또한, 미래 가치가 있는 사업을 독립시킨 후 주력 사업으로 육성하면 기업의 전문성도 높일 수 있다. 기업 분할은 크게 인적 분할과 물적 분할이 있다. 인적 분할은 부부가 '이혼'을 하는 것이고, 물적 분할은 동거하던 자녀를 '분가'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혼(인적 분할)을 하면 재산이 수평 분할되기 때문에 재산에 변화가 생기지만 분가(물적 분할)를 하면 수직 분할되기 때문에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그렇다면 인적 분할과 물적 분할이 투자자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자. 인적 분할로 기업이 분할되면 주주도 비율만큼 기업의 주식을 소유하게 된다. 예를 들어, A기업이 5 .. 2022. 7. 8.
액면 분할 액면 병합 알아보기 모든 주식에는 액면가가 있다. 증권에 표시된 권리의 명목상 가치로 증권의 권면에 표기된 금액이다. 상장 기업은 통일 규격의 도안을 이용해 주식을 발행해야 하는데 무액면 주식(액면가 기재가 없는 주식)을 제외하고 1주당 액면가를 기재하게 되어 있다. 통상 100원, 200원, 500원, 1,000원, 2500원, 5,000원 등 6종류의 금액 중에서 선택해 기재한다. 그런데 보통주의 액면가는 주식 발행 당시 기업이 정한 기준 가격일 뿐, 주식 시장에서 거래가 이뤄지는 시장 가격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일례로 2021년 10월 기준으로 70,000원대인 삼성전자의 액면가는 100원이고, 12만 원대인 카카오의 액면가도 100원이다. 두 기업 모두 액면 분할을 통해서 5,000원이던 액면가를 100원으로 낮.. 2022. 7. 7.
채권 :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사채(CB:Convertible Bond)', '신주인수권부사채(BW:Bond with Warrant)'는 주식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다. 엄밀히 말하면 사채라고 할 수 있는데 주가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투자하기 전에 CB, BW 발행 유무 또는 발행 계획을 꼭 확인해야 한다. 전환사채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을 말한다.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격을 미리 정해서 발행하는데 향후 주가가 오르면 주식으로 전환해 시세 차익을 거둘 수 있다. 1년 후에 A기업의 주식을 70,000원에 살 수 있는 전환사채를 샀다고 해보자. 1년 사이에 A기업의 실적이 좋아져서 A기업의 주가가 10만 원이 됐다. 전환사채로 30,000원의 시세 차익을 거둘 수 있다. 단, 전환권 .. 2022. 7.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