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사채(CB:Convertible Bond)', '신주인수권부사채(BW:Bond with Warrant)'는 주식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다. 엄밀히 말하면 사채라고 할 수 있는데 주가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투자하기 전에 CB, BW 발행 유무 또는 발행 계획을 꼭 확인해야 한다.
전환사채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을 말한다.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격을 미리 정해서 발행하는데 향후 주가가 오르면 주식으로 전환해 시세 차익을 거둘 수 있다.
1년 후에 A기업의 주식을 70,000원에 살 수 있는 전환사채를 샀다고 해보자. 1년 사이에 A기업의 실적이 좋아져서 A기업의 주가가 10만 원이 됐다. 전환사채로 30,000원의 시세 차익을 거둘 수 있다. 단, 전환권 행사를 하면 채권의 지위는 사라진다. 주식으로 전환하지 않고 만기까지 보유하면 이자 수익을 낼 수 있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사채권자에게 사채 발행 이후에 (사채를 발행한) 기업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할 때 미리 약정된 가격에 따라 일정한 수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다.
앞에서 설명한 전환사채와는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다.'라는 점이 같다. 그런데 전환사채가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경우 사채가 주식으로 변경되는 반면,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인수권을 행사해도 사채는 남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단,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때 채권 소유자는 주식 매수를 위해 별도의 금액을 준비해야 한다.
단순 비교를 해도 전환사채보다는 신주인수권부사채가 더 매력적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이자는 전환사채보다 낮다.
정리하자면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주식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은 여러 장점을 갖고 있어서 투자자에게는 매우 좋다. 그러나 기존 주주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기업의 가치(시가 총액)는 변하지 않는데 총발행 주식 수만 늘어나서 기존 주주가 갖고 있었던 가치는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채권의 발행 이력이 많거나 미상환 금액이 많으면 주가 상승에 부담이 되기 때문에 투자에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 또한 발행 대상자를 잘 살펴보고 그 이력도 확인해야 한다.
한 예로, 한 기업의 전환사채 발행 결정이 공고되면 권면 총액과 전환 청구 가능 기간을 잘 살펴봐야 한다. 권면 총액은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해서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한다. 이 금액이 많을수록 주가 상승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전환 청구 가능 기간은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간을 말하는데 그 기간이 다가올수록 주가에 부담을 줄 수밖에 없다. 현재 주가가 전환가액보다 높다면 전환사채 물량이 매물로 나올 수 있고 결국 주가 하락의 요소가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투자자는 미상환 전환사채의 기간과 금액을 잘 확인해야 한다.
장기 투자를 고려한다면 전환사채 발행이 기업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고려해야 한다. 재무가 좋은 기업이 전환사채를 발행한다면 앞에서 설명한 대로 재무 악화 신호로 인식되어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재무가 좋지 않은 기업의 전환사채 발행은 재무 개선 신호로 인식될 수도 있다. 또한, 시장 트렌드에 맞는 신사업의 목적으로 전환사채가 발행됐다면 시장에서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전환사채를 자주 발행하는 기업은 건전성을 의심해봐야 한다.
종합해보면, 기업의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주식을 받을 수 있는 채권의 발행은 단기냐, 장기냐에 따라 악재가 되기도 하고 호재가 되기도 한다. 단기적으로 보면 기업 입장에는 전환사채 금액만큼 부채가 늘어나기 때문에 부채 비율이 높아지고 재무제표에도 악영향을 준다. 그러나 채권 보유자에게 주식 전환권을 주는 대신 더 낮은 금리로 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시간이 흘러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면 재무제표 상의 채무가 줄어 재무 건전성도 좋아진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적 분할 물적 분할 알아보기 (1) | 2022.07.08 |
---|---|
액면 분할 액면 병합 알아보기 (1) | 2022.07.07 |
무상증자 알아야 할 것 (0) | 2022.07.05 |
유상증자가 뭐에요 (0) | 2022.07.04 |
내가 가진 주식이 상장 폐지가 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2.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