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패턴분석이란
: 과거 주가 흐름을 통해 검증된 패턴을 현재 주가 흐름에 대입해 주가의 등락을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1> 상승이 예상되는 패턴 - 매수의 기회
: 삼중바닥형, 이중바닥형, 원형 바닥형, V자형 바닥형, 상승삼각형, 강세박스권
2> 하락이 예상되는 패턴 - 매도의 기회
: 삼중천정형, 이중천정형, 원형 천정형, V자형 천정형, 하락삼각형, 약세박스권
2. 패턴별 투자포인트
1> 삼중천정형(H&S형, 삼봉천정형)
: 산봉우리 3개가 사람의 머리와 어깨처럼 그려진 패턴을 말한다. 장기간에 걸쳐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고, 주가 하락의 전형적인 모양 중 하나이다. 추세선 하향 이탈시 매도, *기준선까지 반등시 매도해야한다.
*기준선 - 기준선은 목선이라고도 하며 의미 있는 저점과 고점들을 연결했을 때 만들어지는 수평선으로 시세 흐름에 있어 균형선의 의미를 갖는다. 즉 주가가 기준선을 상향 돌파하면 주가가 매도·미수세력의 균형점을 돌파한다고 보아 주가는 상승한다고 보고, 기준선을 하향 돌파하면 주가는 떨어진다고 본다.
2> 삼중바닥형(역H&S형, 삼봉바닥형)
: 삼중천전형을 거꾸로 돌려놓은 그림이다. 주가 상승의 대표적인 모양이다. 추세선 상승 이탈시 매수, 기준선까지 되돌림현상이 발생할 시 매수한다.
3> 이중천정형(M자형)
: 두 개의 산봉우리가 만들어진 그림이다. 두 차례나 동일한 가격 선에서 저항을 받아 내려오기 때문에 전형적인 하락모양이다. 추세선 이탈시 매도, 기준선까지 반등시 매도한다.
4> 이중바닥형(W자형)
: 이중천정형을 거꾸로 돌려놓은 모양이다. 바닥에서 두 차례나 지지를 받아 상승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상승모양이다. 추세선 돌파시 매수, 기준선까지 조정시 매수한다.
5> 원형 천정형
: 주가가 상승 후에 힘에 부쳐 원형으로 하락하는 모습이다. 거래량이 상승하는 동안 늘었다가 원형 정상에서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고, 낙푹이 큰 경우가 많다. 기준선에서 반등하지 못할 때는 매도한다.
6> 원형 바닥형
: 원형 천정형을 거꾸로 뒤집은 모습이다. 원형을 완성한 후 보합권을 이탈하여 거래량을 수반하면서 상승할 경우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준선 돌파시 매수한다.
7> V자형 천정형
: 기세 좋게 오르던 주가가 돌발 악재로 인해 하락으로 방향을 전환한 경우이다. 상승과 하락 사이의 각도가 유사하다. 특히 거래량이 줄어들 때에는 추가하락 가능성이 있다. 매도.
8> V자형 바닥형
: V자형 천정형을 거꾸로 뒤집은 모습이다. 상승추세선에서 거래량이 늘면 상승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매수.
9> 하락삼각형
: 하락 추세선과 지지선으로 만들어진, 밑이 수평인 삼각형이다. 수평선(지지선) 하락 돌파시에는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 매도.
10> 상승삼각형
: 저점은 상승추세선을 타고, 고점은 저항선으로 만들어진 삼각형이다. 삼각형 수평선(저항선)을 돌파할 경우 추가 상승이 예상된다. 매수.
11> 하락박스형
: 주가가 박스권 안에서 움직이다가 박스를 하향 돌파할 때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 박스권 하향 돌파시 매도.
12> 상승박스형
: 주가가 박스권 안에서 움직이다가 박스를 상향 돌파할 때 추가 상승이 예상된다. 박스권 상향 돌파시 매수.
13> 대칭 삼각형
: 고점 추세선은 하락하고, 저점 추세선은 상승하여 균형이 잡힌 삼각 깃대형이다. 이런 경우는 주가가 삼각 깃발을 어느 방향으로 돌파하느냐에 따라 상승 또는 하락이 예상된다. 상향 이탈시 매수하고 하향 이탈시 매도한다.
14> 확장삼각형
: 대칭삼각형과 반대로 균형점에서 주가가 확산되어 가는 모양이다. 상승추세가 끝나고 하락으로 전환될 때 나타난다. 하향 이탈할 때는 폭락이 나올 수 있으므로 매도해야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마주 투자 요령 (0) | 2022.01.16 |
---|---|
투자의 기본 지식, 주가와 환율의 상관성 (0) | 2022.01.15 |
거래량 분석 감잡기 (0) | 2019.06.21 |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으로 매매하기 (0) | 2019.06.19 |
봉차트와 연결봉(연결도표)으로 예측하는 주가 (0) | 2019.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