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ROE(자기자본이익률) 이해하기

by 정그릿 2022. 4. 22.
728x90


ROE = (당기순이익 ÷ 평균자기자본)
×100


기업은 자신의 이익을 보통 ROA(총자산 수익률)로 나타낸다. 이는 차입금과 자기자본이 모두 포함되어있다.

주주의 입장에서는 부채를 포함한 총자산 수익률보다는 자기자본으로 얼마나 수익을 내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것을 자기자본이익률, ROE이다. 주주가 투자한 자본으로 어느정도의 이익을 올리고 있는지 나타내는 것으로 주주들의 지분에 대한 운용 효율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종목선정은 ROE를 체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한다. 왜냐하면 자기자본에 비해서 이익을 많이 내면 낼수록 이익을 창출하는 힘이 강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곧 기업가치가 높은 회사라는 것이다.

즉, ROE가 높을수록 좋은 회사이고, 높은 기업에 투자해야한다. 좀 더 덧붙이면 최소한 은행 이자율보다는 높아야 주식투자의 메리트가 있다고 본다. ROE가 5~10%이면 적정한 수준이며, 10%이상이면 수익성이 높은 회사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ROE는 과거 실적보다 예상 ROE가 더 중요하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이는 애널리스트가 예측한 수치라는 것이다. 기업환경이 변한다면 언제든 수정된다는 점을 염두하자.

마지막으로 정리하자면, 기업은 분석할 때 ROE를 맨 처음 확인하자. 이때 지난 실적이 아닌 1년 후 예상 ROE를 보되, 5~10년 가량의 ROE를 참고해서 그 기업의 역사적 성장 추이를 확인해야 한다.


티에스이


티에스이의 5년 동안의 ROE 추이를 살펴보자. 꾸준히 양호한 ROE를 유지하다가, 2020년, 2021년 엄청난 성장세를 보인다. 게다가 예상 ROE도 23.31%로 전 년 보다 약 3% 높게 예측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는 티에스이가 기업가치가 높은 좋은 회사라고 볼 수 있겠다.

이를 증명한다는 듯이 최근 티에스이의 주가는 상승의 흐름을 이어가서 저항선을 뚫었다.

티에스이 일봉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