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적 분석이란 기업의 내재 가치를 분석하여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 것이다. 어떤 기업의 주가가 내재 가치보다 저평가되었다고 판단되면 매수하고 고평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매도하는 것이 기본적 분석이다. 기본적 분석을 기반으로 종목을 선정할 때 쓰는 방법은 바텀업 방식과 톱다운 방식 두 가지가 있다.
먼저, 바텀업 방식이란 나무를 먼저 보는 미시적 관점으로 기업을 분석한 뒤 산업 분석, 경제 분석을 하는 것이다.
기업분석 → 산업 분석 → 경제 분석
이 경우에는 저평가된 기업에 투자하기 때문에 시장 상황과 무관하게 주가는 상승할 수 있다. 거시 경제가 안 좋은 상황에도 리스크를 줄일 수 있어 안전한 투자법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경제 상황이 개선되어 호황을 누리며 주가가 급성장하는 상황이 벌어지면 오히려 상승장에서 소외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바텀업 방식은 기업 분석이 자세해 장기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예를 들어 재무제표 및 기업 정보를 통해 분석한 결과 현재 기업 가치를 주당 10만 원이라고 생각했는데, 주식 시장에서 8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면 매수해 예상 가치로 산정한 금액까지 가지고 가는 전략을 짤 수 있다.
다음, 톱다운 방식이란 숲은 먼저 보고 나무를 보는 거시적 관점의 방식이다. 바텀업 방식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경제 분석을 한 뒤 산업 분석, 기업 분석을 하는 것이다.
경제 분석 → 산업 분석 → 기업 분석
이는 현재 시장의 환경을 파악하고, 혅 시장 환경을 바탕으로 투자할 섹터와 업종은 어디인지, 해다아 섹터를 주도하는 기업은 어느 단계로 접근하는 것이 좋은 지를 판단한다.
시장 : 경기가 위축되면 자본을 투입하여 경기가 회복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물가가 상승한다.
업황/섹터 : 유가 및 원자재 가격이 상승해 경기 민감주(경제적 상황이나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 목)가 움직인다.
종목 : 기업 실적 및 수익 구조를 확인하고 상대적 저평가 기업과 재무 구조 등의 투자 지표를 확인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 환율, 유가 (0) | 2022.06.08 |
---|---|
시장 분석 : 기술적 분석하는 방법 (0) | 2022.06.08 |
시장 분석 : 시황 분석하는 방법 (0) | 2022.06.08 |
ROE(자기자본이익률) 이해하기 (0) | 2022.04.22 |
DL이앤씨(코스피 375500) 종목 분석 (0) | 2022.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