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최PD34 섹터 및 종목 : 미디어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며 급속도로 성장한 분야가 미디어 콘텐츠분야다.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며 인터넷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고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TV 등의 OTT(인터넷 기반 동영상 서비스)가 각광받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 메타버스, NFT와 연계하여 새로운 시장을 열고 있기도 하다. 실제 이러한 시대 흐름에 따라 정부도 '혁신 성장을 견인하는 디지털 미디어 강국'을 비전으로 2022년까지 국내 미디어 시장 규모 10조 원, 콘텐츠 수출액 134억 2,000만 달러, 글로벌 플랫폼 기업 최소 5개를 목표로 지원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국내 플랫폼과 콘텐츠 세계화를 위한 기반 마련, 국내외 사업자 간의 공정 경쟁 여건 조성을 위한 4대 전략과 55개 세부 과제 이행을 밝혔으며, 낡은 플랫.. 2022. 6. 17. 섹터 및 종목 : NFT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의미로 미술, 음악, 게임, 부동산 등 유무형의 다양한 자산의 소유권과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한 디지털 파일을 의미한다. 소유권과 판매 이력등의 자산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됨으로써 최초 발행자를 확인할 수 있어 소유권을 명확히 할 수 있고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암호화폐 등의 가상자산은 발행처에 따른 균등한 조건을 갖고 있기 때문에 NFT를 적용하면 서로 교환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블록체인 상에 저장된 디지털 파일인 토큰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같은 값의 현금은 누군가와 교환할 수 있지만, 스마트폰을 누구와도 바꿀 수 없다. 스마트폰은 대체 불가능한 것이고, 같은 값의 현금은 가치의손실이 없.. 2022. 6. 17. 섹터 및 종목 : 메타버스 가상과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 1992년 미국 SF 작가 닐 스티븐슨의 소설 《스노 크래시》에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5G 상용화에 따른 정보 통신 기술 발달과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환경의 가속화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메타버스의 유형은 기본적으로 다음 네 가지로 분류된다. 증강 현실 현실공간에 2D 또는 3D로 표현되는 가상의 물체를 겹쳐 보이게 하면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HUD, 구글 글라스 라이프로깅 사물과 사람에 대한 일상적인 경험과 정보를 캡처하고 저장한다. 묘사하는 기술로 사용자는 모든 순간을 텍스트 등으로 캡처하고 서버에 저장, 공유가 가능하다. SNS, 웨어러블 기기 거울 세계 실제 세계를 가능.. 2022. 6. 16. 섹터 및 종목 : 한국판 뉴딜 한국판 뉴딜이란 코로나19로 최악의 경기 침체와 일자리 감소의 충격 등에 직면한 상황에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기 위해 2020년 7월 14일에 10대 대표 과제로 마련된 국가 발전 전략이다. 경제 전반의 디지털 혁신과 역동성 확산을 위한 '디지털 뉴딜'과 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그린 뉴딜'이 두 축이고 경제 구조 변화에 맞춘 새로운 일자리로의 이동을 위한 인력 양성과 취업 지원 및 디지털 격차 해소 등 포용적으로 사람에게 투자하는 것을 확대하는 '휴먼 뉴딜'과 '지역 균형 뉴딜'도 이에 포함된다. 구분 내용 디지털 뉴딜 우리의 강점인 정보 통신(ICT) 산업을 기반으로 데이터 경제를 활성화하는 전략이다. 데이터 활용도를 높여 전 산업의 비약적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인프라를 빠르게 구축하기 위한 정.. 2022. 6. 16.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