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최PD34

매매 기법 : 배당주 매매 배당금은 기업에서 이익 잉여금이 발생하였을 때 일부 금액을 주주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시장에는 '찬바람 불면 배당주'라는 오랜 격언이 있을 정도로 연말에는 배당주 인기가 좋으며, 배당주는 변동성 장세가 지속되며 투자자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과 유럽 등의 국가에 미해 바당 성향이 낮은 편이지만 기관 투자자들이 의결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는 주주 친화적 배당 정책을 시행하는 기업은 확대하는 실정이다. 사실 배당은 양날의 칼과도 같다. 배당 성향이 너무 높으면 기업의 성장 동력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끊임없는 투자를 통해 급속도의 성장을 노리는 기업은 배당을 꺼리기도 한다. 성장 동력이 낮은 금융업과 리츠, 에너지 등의 기업이 배당을 높게 하는 이유다. 배당주에 투자할 때.. 2022. 6. 15.
매매 기법 : 신규 상장주 매매 어떤 종목이든 매매는 신중해야 한다. 그리고 신규 상장주 매매에는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 신규 상장주는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기술적 분석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신규 상자주 매매에서는 보호예수 기간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보호예수란, 증권 예탁원이나 증권회사가 투자자 소유의 유가 증권이 유통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분리· 보관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특정 상황에서 기업에 보호예수를 강제하는 것을 '의무보호예수 제도'라고 한다. 의무보호예수는 자본시장법, 금융위원회규정, 거래소상장규정 등에 따라 최대 주주 및 인수인이 보유한 주식을 일정 기간 매도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최대 주주 등의 지분 매각에 따른 주가 급락으로부터 소액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다. 의무보호예수 해제 기업 리스트는 '에이콘스.. 2022. 6. 15.
매매 기법 : 장대 양봉 후 40일 선 매매 대부분의 투자자가 5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의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매매한다. 시장의 흐름에 따라 매매 전략이 달라지는데, 기본적으로 주가가 생명인 20일선 아래로 주가가 빠지면 60일선을 기준으로 한다. 개인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것은 20일선과 60일선의 중간인 40일선이다. 또한 어떤 투자자는 20일선에서 1차 매수, 60일선에서 2차 매수하는 전략을 세우기도 한다. 그리고 이런 개인 투자자의 심리를 잘 아는, 돈을 가진 주체들은 60일선까지 가지 않고, 40일선에서 하락을 멈추고 지지한 이후 주가를 올리는 경우가 많다. 60일선에서 기다리는 투자자에게 추가 매수의 기회가 오지 않는 이유다. 역배열에 있던 이동평균선은 정배열의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주가가 기간 조정과 가격 조정의 .. 2022. 6. 15.
매매 기법 : 눌림목 매매 기준봉이란 무엇일까? 기준봉을 이해하기 전에 매집봉부터 알아보자. '매집'이란 주식을 사서 모으는 것. 즉, 물량을 가져가는 것을 말한다. 매집봉은 주가가 박스권 안에 있으면서 세력이 개인의 물량을 사들일 때 나타난다. 그리고 바로 이 부분에서 매집봉과 기준봉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난다. 매집봉과 유입봉 모두 박스권에서 '세력의 유입'을 나타내는 캔들이다. 발생 시점이 박스권에서 '세력의 유입'을 나타내는 캔들이다. 발생 시점이 박스권 내라면 매집봉, 박스권을 돌파하면 기준봉인 것이다. 모두 세력의 유입을 나타내므로 이후 주가의 상승을 예상하게 하고 매수와 매도 타점을 잡게 한다. 구체적으로 기준봉은 긴 시간 횡보하며 박스권에 갇혀 있던 주가가 박스권을 강력하게 뚫고 나가는 것을 말하며, 기준봉이라는 .. 2022. 6. 15.
728x90
반응형